분류 전체보기(101)
-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38장. 브라우저의 렌더링 과정
* 파싱(Parsing) -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에 맞게 작성된 텍스트 문서를 읽어 들여 실행하기 위해 텍스트 문서의 문자열을 토큰으로 분해(어휘 분석) 하고, 토큰에 문법적 의미와 구조를 반영하여 트리 구조의 자료 구조인 피스 트리를 생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파싱이 완료된 후에는 피스 트리를 기반으로 중간 언어인 바이트코드를 생성하고 실행한다. * 렌더링(Rendering) - HTML, CSS, 자바스크립트로 작성된 문서를 파싱하여 브라우저에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말한다. * 브라우더의 렌더링 과정 - 1 : HTML, CSS, 자바스크립트, 이미지, 폰트 파일 등 렌더링에 필요한 리소스를 요청하고 서버로부터 응답을 받는다. - 2 : 브라우저의 렌더링 엔진은 서버로부터 응답된..
2023.03.16 -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22장. this
1. this 키워드 - this 는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키는 자기 참조 변수. this 를 통해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의 프로퍼티나 메서드를 참조할 수 있다. - this 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생성. 코드 어디서든 참조 가능. - this 가 가리키는 값, this 바인딩은 함수 호출 방식에 의해 동적으로 결정된다. // this 는 어디서든지 참조 가능하다. console.log(this); // window function square(number) { console.log(this); // window return number * number; }; square(2); const person = { name : 'Lee', ..
2023.03.14 -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19장. 프로토타입 - 2
8. 오버라이딩과 프로퍼티 섀도잉 1) 오버라이딩 : 상위 클래스가 가지고 있는 메서드를 하위 클래스가 재정의하여 사용하는 방식 2) 오버로딩 : 함수의 이름은 동일하지만 매겨변수의 타입 또는 개수가 다른 메서드를 구현하고 매겨변수에 의해 메서드를 구별하여 호출하는 방식. 자바스크립트는 오버로딩을 지원하지 않지만 arguments 객체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는 있다. 3) 프로퍼티 섀도잉 : 상속 관계에 의해 프로퍼티가 가려지는 현상. 4) 인스턴스 메서드를 삭제하더라도 프로토타입 메서드는 삭제되지 않는다. 프로토타입 프로퍼티를 변경 또는 삭제하기 위해서는 프로토타입에 직접 접근하여 변경하여야 한다. const Person = ( function() { function Person(name){ this.n..
2023.03.13 -
[JS] 백준 알고리즘 Node.js 1356. 유진수
1.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356 1356번: 유진수 첫째 줄에 수 N이 주어진다. 이 수는 2,147,483,647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www.acmicpc.net 2. 풀이방법 1) 입력받은 숫자를 일정 부분마다 잘라서 유진수가 될 수 있는지를 확인한다. 2) 만약 입력받은 숫자의 길이가 1자리 숫자인 경우는 무조건 NO const n = 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trim(); let checkBool = false; for(let i = 1; i
2023.03.11 -
[JS] 백준 알고리즘 Node.js 1296. 팀 이름 정하기.
1.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296 1296번: 팀 이름 정하기 연두는 프로그래밍 대회에 나갈 팀 이름을 정하려고 한다. 미신을 믿는 연두는 이환이에게 공식을 하나 받아왔고, 이 공식을 이용해 우승할 확률이 가장 높은 팀 이름을 찾으려고 한다. 이환 www.acmicpc.net 2. 풀이방법 1) 연두의 영어이름과 팀 이름 후보에서 각각 L, O, V, E 의 개수를 구한다. 2) 각각의 개수를 이용하여 ((L+O) × (L+V) × (L+E) × (O+V) × (O+E) × (V+E)) mod 100 의 값을 구한 후, 비교하여 가장 큰 값의 팀 명을 출력한다. 3) 만약 공식의 값이 동일할 경우, 사전 상 먼저오는 팀의 이름을 출력한다. const inputs..
2023.03.11